어느덧 5월도 하순, 봄도 이젠 막바지를 맞았습니다. 하지만 봄의 끝은 여름의 시작이기도
한데요, 봄을 보내고 여름을 맞는 그 특별한 시간. 금천50플러스센터에서는 그에 걸맞는 특별한 문화 행사를 마련했습니다.
바로 낭만콘서트 <소리 듣는 데이>입니다. 금천50플러스센터는 작년에도 트롯, 70-80, 가곡 등 다양한 주제의 콘서트를 개최한 바 있었는데요, 올해도 낭만콘서트로 돌아왔네요.
ⓒ 홍보서포터즈 최용석
5월 30일 금천50플러스센터 1층
두드림 카페에서에서 금천문화재단과 함께 하는 <소리 듣는 데이>는
우리 전통 판소리를 누구나 즐길 수 있도록 소리꾼들이 관객을 찾아가 공연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주위에서
많은 문화공연들이 열리지만 판소리 공연을 접하기는 쉽지 않은데 낭만콘서트 <소리 듣는 데이>는 우리의 전통 판소리를 제대로 즐겨볼 수 있는 기회이지요.
이번 공연에는 국악뮤지컬 집단 '창작하는 타루'가 함께 할 예정이라고 하지요. '타루’는 2001년 창단한 이래 현재까지 국악과 판소리를 현대적으로 풀이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는 젊은 국악인들입니다.
그리고 여기에 더해서 소리꾼 정종임, 공미연, 신소라 등이 참여하며, 창작
판소리 여는 마당, 흥보가 중 박타는 대목, 춘향가 중에서
사랑가, 진도아리랑 등 전통 국악들로 준비된다고 합니다.
![사진6.JPG](/upload/im/2024/05/d69e3b04-8a49-47fb-a785-d914e7d1cb1d.jpg)
1. 여는소리 - 창작판소리<소리듣는데이가>
공연을 보러오신 관객들을 환영하는 노래로 창작하는 타루의 소리꾼들이
직접 창작한 창작판소리이다.
2. 흥보가 중 <박 타는 대목>
제비가 준 박씨에서 열린 박을 타기 시작하는 흥보와 흥보마누라, 박 속에서는 쌀, 돈, 은금
보화들이 쏟아져 나온다. 가난하지만 마음씨 착한 흥보가 복을 받는 대목이다.
3. 춘향가 중 <사랑가>
가장 많이 알려진 판소리 대목으로 백년가약을 맺은 이몽룡과 성춘향이
부르는 사랑 노래이다. 사랑에 대한 솔직하고 다양한 표현을 담고 있다.
![사진7.JPG](/upload/im/2024/05/50938ff5-773d-4818-a714-891d20b938fc.jpg)
4. 아리랑연곡
아리랑은 한국의 문화를 대표하는 노래이다. 지역마다 동네마다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져 불려진 아리랑들을 모아 한 곳에서 감상 할 수 있는 소리이다.
5. 심청가 중 <심봉사 눈 뜨는 대목>
맹인잔치에 참석한 심봉사가 죽은 줄만 알았던 딸 청이를 만나자
놀라움과 기쁨에 청이를 보고싶은 간절한 마음에 눈을 뜨게 되는 대목이다.
6. 진도아리랑
영화 <서편제> 속 노래로 전라남도 진도의 아리랑이다. 혼자서 부를 때는 슬픈
신세타령이리지만 여럿이 부를 때는 빠르고 흥겨운 노래가 되어 일터를 놀이판으로 바꾸어 주는 소리이다.
![사진8.JPG](/upload/im/2024/05/0cc14c65-ba95-431b-a843-bb7fecf9208f.jpg)
사실 익숙한 듯 하면서도 익숙하지 않은 것이 판소리라고 생각하는데요, 관객이 아니라 소리꾼들이 관객을 위해 직접 찾아간다는 발상의 전환 낭만콘서트
<소리 듣는 데이>에서 우리의 전통 판소리에 대한 이해와 재미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.
![사진9.jpg](/upload/im/2024/05/77903dc0-228e-4d5d-9eb1-81f3538de056.jpg)
홍보서포터즈 최용석(choiys1989@naver.com)